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어쩌다 보니 이렇게
Sbs 스페셜 '내 아이가 살아갈 로봇세상' 본문
[2018 신년특집 SBS스페셜]
I ROBOT
- 내 아이가 살아갈 로봇 세상
2018년 1월 7일 방영
(다시보기 : http://nstore.naver.com/broadcasting/detail.nhn?productNo=2050627&episodeNo=3169200&OSType=pc)
알파고는 왜 사람들을 놀라게 했나?
"바둑이라는 것이 인간의 가장 순수한 정신적 영역이라 생각되던 것인데
그 정신적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조차도 인공지능에게 무력해진 모습에서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낀 것."
1차 산업혁명 - 증기기관의 발명과 기계화
2차 산업혁명 - 전기의 발명과 대량생산
3차 산업혁명 - 정보통신 발달과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
4차 산업혁명 - 인터넷 네트워크에 축적된 빅데이터와 이를 분석하고 스스로 활용할 줄 아는 인공지능의 융합 시대. 기계의 지적 노동이 가능해진 알파고 쇼크.
제롬 글렌(미래학자)
"반복되는 것들을 잊어라. 그런 것들은 다 복제될 것이다. 몸으로 하는 것들은 다 자동화될 것이다. 호기심을 갖고 더 똑똑해져야 한다."
로봇과 달리 인간은 깊은 이해와 사고를 기반으로 한 대화가 가능하고, 뛰어난 적응능력과 감정에 대한 인지 능력, 운동신경을 가졌으며, 판단력을 기반으로 한 임기응변이 가능.
"로봇은 정확한 정량화된 지표가 있을 때 최적화하는 것만 잘한다."
"기존 산업혁명 당시에 많은 직업들이 새로 생겨나고 또는 없어진 것과 같이, 4차 산업혁명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직업들이 많이 생겨날 것이다. 인간은 거기에 또 적응을 할 것이다. 문제는 '나'가 적응을 하느냐이다. 그 새로 생겨난 직업을 내가 가질 수 있는지는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새로 다가오는 시대에 어떻게 준비하고 적응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코딩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해야될 미래에 적응하기 위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지시를 하는 것.
코딩교육 의무화 문제
교육시간에서 보장되는 수업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코딩이 요구하는 사고하는 능력과 충분히 학생들 스스로가 고민해볼 시간을 갖기 어려운 교육현장. 결국 학생들의 창의력, 사고력 향상이라는 본래 취지와 다르게 또 다른 암기과목화 우려. 기존 국영수 과목과 교육하는 방식이 똑같은, 주입식, 강의식 수업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
'정답이 무엇인지' vs.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코딩은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
"코딩 교육은 일상 생활의 이야기를 자세하고 순서대로 설명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다."
"코딩 언어에서 문법이 중요한 게 아니고 순차적이고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표현이 중요."
"코딩 기능이 중요한 게 아니고 적응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
I ROBOT
- 내 아이가 살아갈 로봇 세상
2018년 1월 7일 방영
(다시보기 : http://nstore.naver.com/broadcasting/detail.nhn?productNo=2050627&episodeNo=3169200&OSType=pc)
알파고는 왜 사람들을 놀라게 했나?
"바둑이라는 것이 인간의 가장 순수한 정신적 영역이라 생각되던 것인데
그 정신적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조차도 인공지능에게 무력해진 모습에서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낀 것."
1차 산업혁명 - 증기기관의 발명과 기계화
2차 산업혁명 - 전기의 발명과 대량생산
3차 산업혁명 - 정보통신 발달과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
4차 산업혁명 - 인터넷 네트워크에 축적된 빅데이터와 이를 분석하고 스스로 활용할 줄 아는 인공지능의 융합 시대. 기계의 지적 노동이 가능해진 알파고 쇼크.
제롬 글렌(미래학자)
"반복되는 것들을 잊어라. 그런 것들은 다 복제될 것이다. 몸으로 하는 것들은 다 자동화될 것이다. 호기심을 갖고 더 똑똑해져야 한다."
로봇과 달리 인간은 깊은 이해와 사고를 기반으로 한 대화가 가능하고, 뛰어난 적응능력과 감정에 대한 인지 능력, 운동신경을 가졌으며, 판단력을 기반으로 한 임기응변이 가능.
"로봇은 정확한 정량화된 지표가 있을 때 최적화하는 것만 잘한다."
"기존 산업혁명 당시에 많은 직업들이 새로 생겨나고 또는 없어진 것과 같이, 4차 산업혁명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직업들이 많이 생겨날 것이다. 인간은 거기에 또 적응을 할 것이다. 문제는 '나'가 적응을 하느냐이다. 그 새로 생겨난 직업을 내가 가질 수 있는지는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새로 다가오는 시대에 어떻게 준비하고 적응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코딩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해야될 미래에 적응하기 위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지시를 하는 것.
코딩교육 의무화 문제
교육시간에서 보장되는 수업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코딩이 요구하는 사고하는 능력과 충분히 학생들 스스로가 고민해볼 시간을 갖기 어려운 교육현장. 결국 학생들의 창의력, 사고력 향상이라는 본래 취지와 다르게 또 다른 암기과목화 우려. 기존 국영수 과목과 교육하는 방식이 똑같은, 주입식, 강의식 수업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
'정답이 무엇인지' vs.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코딩은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
"코딩 교육은 일상 생활의 이야기를 자세하고 순서대로 설명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다."
"코딩 언어에서 문법이 중요한 게 아니고 순차적이고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표현이 중요."
"코딩 기능이 중요한 게 아니고 적응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
'시사 상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학년도 청주교대 정시 면접고사 방법 정리 (0) | 2018.01.16 |
---|---|
(시사) 지진-2017년 포항 지진을 중심으로 (0) | 2017.12.27 |
(시사) 국민휴일보장법 / 대체휴일제 (1) | 2017.12.26 |
Comments